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정치부 조영민 기자와 여야의 심판론 경쟁 좀 더 들여다보죠. <br> <br>Q1. 민주당은 뭐 역시 강력하게 정권 심판론을 강조하는 분위기에요? <br><br>이재명 대표, 가는 곳마다 총선일인 다음달 10일을 '정권심판의 날'로 규정하지 않았습니까? <br><br>정권심판론 만큼 야당 입장에서 선명한 구도도 없는데요. <br><br>이 대표, 대놓고 말하지는 않지만 "해고" "중도해지" "STOP" 등 탄핵 가능성을 시사하는 발언도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더불어민주당 대표] <br>주인으로서 국민을 배신하는 패륜 정권, 국민을 업신여기는 무능한 정권, 국민을 전세계 망신을 시키는 무도한 정권, 심판할 준비 되셨습니까? 제발 STOP! 못하는 영어 한번 해보겠습니다. “STOP! MR. President Yoon” <br><br>Q2. 그런데 한동훈 국민의힘 총괄선대위원장 역시 똑같이 심판론으로 맞불을 놓는 모양새에요? <br><br>여당이 강대강 심판론 맞불로 구도를 잡은 건 분명 생경하긴 합니다. <br> <br>어쨌든 한 위원장이 하고 싶은 말은 이런 겁니다. <br><br>그동안 국회에서 절대 다수의 의석을 차지하고 좌지우지 했던 게 과연 누구냐. <br><br>이 정부가 출범한 이후 사사건건 추진하고자 정책을 국회 다수석의 힘으로 발목잡았던 주체가 과연 누구냐는 겁니다. <br>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] <br>"불법 파업을 부추기는 노란봉투법, 방송장악법 등 악법만 단독으로 통과시켜가면서 지난 4년간 입법독재를 해왔다. 국민들께서 선택하신 정부가 제대로 일할 기회 한 번 안 주고 대통령 탄핵을 입에 올리는 것이 정상적인지…" <br><br>국회의원 뽑는 총선에서 심판받아야 하는 건 지난 4년간 국회 난장판을 만든 민주당이라며 전혀 다른 구도로 맞대응을 놓은 겁니다. <br> <br>Q3. 조 기자도 말했지만, 사실 여당에서 나오는 심판론이라는 게 익숙하지가 않아서 그 의도가 좀 궁금하기도 해요. <br><br>여당이 내세우는 선거 구도라는 것이 보통 '정부 지원론' 이렇게 상대적으로 야당보다는 수세적인 입장인 경우가 익숙한데 말이죠. <br> <br>일단 같은 '심판론'을 꺼내들면서 맞대응 구도를 만든 건 선명성 경쟁에서 밀리지 않겠다는 포석이 깔린 걸로 보입니다.<br><br>여권에서는 이런 이야기도 하더라고요. <br><br>야당이 선거때마다 당연하게 들고나왔던 정권 심판론을 희석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<br><br>이렇게 말이죠. <br><br>심판이라는 것이 결국은 평가를 전재로 하는 것인데,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가받아야 할 사람은 국회의원이지 대통령은 아니지 않느냐며 야당의 심판론을 어느정도 누를 수 있을 거라는 겁니다. <br><br>Q4. 결국 구도 싸움에서부터 강대강 대치가 벌어지는 형국인데 중요한 건 효과 아니겠습니까? <br><br>이번 총선 성격을 묻는 여론조사를 보면, 지난 1월에 비해 정부 지원론은 5%p 상승하고, 견제론은 소폭 하락하며 양 간 격차가 좁혀진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다만 선거는 결국 누가 중도층을 잡느냐 싸움이라는 게 정설이죠. <br><br>똑같은 조사를 중도층 내에서만 살펴보면, 정부 견제론이 지원론에 비해 두배 가량 높은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><br>여권 내에서는 잘잘못의 주체 따지는 '심판론' 경쟁으로 과연 중도층 끌어올 수 있느냐 이런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[나경원 / 국민의힘 공동선대위원장] <br>"여야 각자 유리한 프레임으로 누구를 심판해달라. 심판의 선거로 가는 건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나 위원장은 "야당 심판을 넘어서는 메시지가 필요하다, 정책 공약이 최선"이라고 강조한 겁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기자 조영민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